티스토리 뷰

반응형

도장 이미지파일 만들기

 

회사 직인 스캔, 가족 행사 도장, 학원 확인용 등 일상에서 도장 이미지파일 만들기가 의외로 자주 필요합니다. 스마트폰만 있어도 깔끔한 PNG를 만들 수 있고, PC가 있으면 투명 배경·고해상도까지 금방 마무리돼요. 이 글은 초보자·어르신 기준으로 종이 도장을 스캔/촬영 → 배경 제거 → 투명 PNG 저장 → 크기·해상도 설정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 아래의 내용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

반응형

도장 이미지파일 만들기

  • 도장 원본(종이 위 도장/직인) 또는 디지털 제작 예정
  • 스마트폰(스캔·사진 앱) 또는 PC(기본 그림/사진 편집 가능)
  • 밝은 종이(A4), 균일한 조명(그림자 최소화)
  • 저장 형식은 PNG(투명 배경) 권장, 불가하면 JPG(흰 배경)

방법 ① 종이 도장 → 스마트폰 스캔(권장)

  1. A4 흰 종이 위에 도장을 단단히 찍습니다(번짐 최소).
  2. 스마트폰 스캔 앱 실행 → 문서 스캔 모드로 A4를 촬영 → 자동 보정 적용.
  3. 보정 단계에서 대비/선명도를 올려 붉은/파란 도장색이 또렷하게 보이게 조정.
  4. 결과를 사진으로 저장한 뒤 배경 제거 기능(또는 “배경 지우기”)을 사용해 배경=투명으로 만들고 PNG로 내보내기.
  5. 크기 조정: 가로·세로 1200~2000px 권장(인쇄/확대 시 깔끔).

팁: 스캔 전 A4를 벽에 세워 촬영하면 그림자 줄이기 좋습니다. 평면 촬영 시엔 빛 반사가 없는 곳에서.

방법 ② 종이 도장 → 스마트폰 카메라(촬영)

  1. 카메라 그리드 켠 뒤 A4를 정면에서 촬영(기울임 금지).
  2. 사진 앱의 자동 보정/수정으로 수평·왜곡을 잡아줍니다.
  3. 자르기로 도장 테두리만 남기고, 배경 제거 후 PNG 저장.
  4. 잡티 제거(지문/종이 주름)는 “브러시/지우개”로 톡톡 지우기.

촬영은 스캔보다 노이즈가 많습니다. 밝은 곳 + 손떨림 방지로 재촬영을 두세 번 해 최선의 컷을 고르세요.

방법 ③ PC로 고해상도 보정(선택)

  1. 스캔/촬영 이미지를 PC로 옮겨 사진 편집 도구에서 열기.
  2. 레벨/커브로 명암 대비를 높여 도장 외곽선을 또렷하게.
  3. 마법봉/선택 도구로 흰 배경 선택→삭제→ 체크무늬(투명) 확인.
  4. 가장자리(Feather 0.5~1px) 로 라인을 자연스럽게 만들고, PNG로 저장.
  5. 인쇄용이면 300dpi 가이드에 맞춰 저장(웹용은 72~150dpi도 OK).

방법 ④ 원형 도장 템플릿 간단 제작(디지털 도장)

  1. 캔버스 2000×2000px 새 파일 → 원형 도형(테두리 20~40px) 그리기.
  2. 상단/하단에 원형 텍스트로 상호·부서·연락처 등 입력(자간 살짝 넓힘).
  3. 중앙에 별/로고/한글 1~3자 배치. 색상은 빨강(#D10, #E11) 또는 파랑 계열.
  4. 끝선에 거친 질감(Noise/Grain) 을 2~5%만 주면 실물 느낌.
  5. 투명 PNG로 내보내기. 필요 시 흑백/청색 버전을 각각 저장.

표|경로별 요약(무엇을 언제 쓰나)

스마트폰 스캔 빠르고 선명, 그림자 최소 종이 도장 보유, PC 없이 즉시 PNG(투명)
스마트폰 촬영 장비 필요 없음 스캔 앱 없을 때 PNG/JPG
PC 보정 가장 깔끔, 큰 사이즈 인쇄·공문 첨부 PNG(투명), 300dpi
템플릿 제작 반복 사용, 텍스트 가변 회사/학원 공용 도장 PNG(투명)

파일 관리·활용 팁

  • 색상 2종(빨강/파랑)과 사이즈 2종(800px/2000px)으로 총 4개 세트를 만들어 두면 어떤 문서에도 대응이 쉽습니다.
  • 문서에 삽입할 때는 도장 레이어를 맨 위로 올리고, **불투명도 85~95%**로 살짝 낮추면 실물 느낌.
  • 도장 위치 잠금(앱의 ‘잠금/고정’)을 켜 두면 이동 실수를 막을 수 있어요.

자주 있는 문제 해결

  • 계단 현상(깨짐): 원본 크기가 작습니다 → 다시 스캔/촬영 1200px 이상으로.
  • 배경이 회색빛: 스캔 보정에서 화이트 밸런스/명도를 높여 흰색을 순백에 가깝게.
  • 테두리 들쭉날쭉: 선택 후 가우시안 블러 0.3~0.7px 선명 효과로 마무리.
  • 색이 흐림: 채도+10~15 / 대비+5~10 범위 내에서만 보정(과하면 인쇄 시 뭉개짐).

체크리스트(저장 전 최종 점검)

  • 저장 형식 PNG(투명) / 크기 ≥1200px / 인쇄면 300dpi
  • 가장자리 Feather 0.5~1px 처리로 자연스러움 확보
  • 파일명 규칙: Seal_Red_2000.png, Seal_Blue_800.png 식으로 구분
  • 공용 배포 시 원본 보관(클라우드/외장 USB) + 수정 잠금

마무리

정리하면 도장 이미지파일 만들기종이 도장 스캔/촬영 → 배경 제거 → 투명 PNG 저장 → 크기·해상도 조정의 네 단계만 익히면 끝입니다. 처음 한 번만 설정해 두면 이후에는 같은 흐름으로 5분 내 새 도장을 만들 수 있고, 템플릿을 만들어 두면 반복 작업 시간이 크게 줄어요. 오늘 안내대로 차근히 따라 하셔서, 계약서·안내문·학부모 통신문 등 다양한 문서에 도장 이미지파일 만들기를 바로 적용해 보세요.

반응형